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연소시 산소공급원" * 고체 가연물은 연소 시 산소가 필요하기 때문에 산소공금원이 될 수 없습니다. 산소와 제1류 위험물(산화성 고체), 제6류 위험물(산화성 액체)은 모두 산화성 물질로 연소 시 산소공금원이 될 수 있습니다 [오답 체크] * 산소는 연소 시 산소공급원이 된다. * 제1류 위험물은 산화성 고체로 연소 시 산소공급원이 된다. * 제6류 위험물은 산화성 액체로 연소 시 산소공급원이 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가연성물질의 구비조건" * 가연성 물질의 구비조건으로 열전도율의 값은 적어야 한다. [알아보기] 가연성 물질의 구비조건 * 화학반응을 일으킬 때 필요한 활성화에너지(최소 점화에너지)의 값이 작아야 한다. * 일반적으로 산화되기 쉬운 물질로서 산소와 결합할 때 발열량이 커야 한다. * 열의 축적이 용이하도록 열전도도가 작아야 한다. * 지연성(조연성) 가스인 산소와의 친화력이 강해야 한다. * 산소와 접촉할 수 있는 표면적이 큰 물질이어야 한다. * 연쇄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이어야 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아세틸렌의 연소범위" * 아세틸렌의 연소범위는 2.5 ~ 81[vol%]이므로 연소상한계는 81[vol%]이다. ① 수소의 연소범위는 4.1 ~ 75[vol%] 이므로 연소상한계는 75[vol%] 이다. ③ 암모니아 연소범위는 15 ~ 28[vol%] 이므로 연소상한계는 28[vol%] 이다. ④ 메탈알코올의 연소볌위는 6 ~ 36[vol%] 이므로 연소상한계는 36[vol%] 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화재 시 연기의 유동 및 확산은 벽 및 천장을 따라 진행하며, 일반적으로 수평방향 으로는 0.5 ~ 1.0 [m/s] 의 속도로 이동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물의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소화하는 방식은 냉각효과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냉각소화에 해당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BC급 분말소화기의 주성분은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탄산수소칼륨+ 요소 이다. * 제1인산암모늄은 ABC급 분말소화기의 주성분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25년_에듀윌_[[ P87__ 7번 그림 참조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일체경보방식"에 대해서 ☆ 층수가 11층(공동주택의 경우 16층)미만인 특정소방대상물의 경보방식은 "일체경보방식"이다
☞ [25년_에듀윌_[[ P88__ 8번 그림 참조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감지기의 종류" ① 열감지기 ⇒ ㉠차동식 분포형감지기, ㉡ 차동식 스포트형감지기, ㉢정온식감지선형감지기, ㉣정온식 스포트형,보상식 스포트형 ② 연기감지기 ⇒ ㉠ 이온화식 스포티트형 감지기,㉡ 광전식 스포트형 감지기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소방안전관리자를 선임할 날부터 14일 이내에 관할 소방서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용 도 : 의료시설 * 규 모 : 지상 15층/지하 2층, 연면적 7,500[m2 * 소방시설 : 스프링클러설비, 자동화재탐지설비, 옥내소화전,유도등 * 소방안전관리자 선임 현황 : 선임일자 : 2021년 3월 10일. 강습교육:2021년 2월 10일 수료.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용 도 : 의료시설 * 규 모 : 지상 15층/지하 2층, 연면적 7,500[m2 * 소방시설 : 스프링클러설비, 자동화재탐지설비, 옥내소화전,유도등 * 소방안전관리자 선임 현황 : 선임일자 : 2021년 3월 10일. 강습교육:2021년 2월 10일 수료.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강습교육 또는 실수교육을 받은 후 1년 이내에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된 경우 실무교육을 이수한 날에 실무교육을 이수한 것으로 보고, 2년마다 1회 이상 실무교육을 받아야 한다. 2021년 2월 10일에 강습교육을 이수했으므로 강습교육을 이수한 날로부터 2년 뒤인 2023년 2월 9일까지 실무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용 도 : 의료시설 * 규 모 : 지상 15층/지하 2층, 연면적 7,500[m2 * 소방시설 : 스프링클러설비, 자동화재탐지설비, 옥내소화전,유도등 * 소방안전관리자 선임 현황 : 선임일자 : 2021년 3월 10일. 강습교육:2021년 2월 10일 수료.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 층수가 11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의 경우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로 분류. * 의료시설은 소방안전관리보조자 선임대상이다.( 최소 1명)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의료시설의 4층 이상 10층 이하에 적응성이 없는 피난기구는 미끄럼대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인 4[m] 미만의 소방대상물에서 제1종 정온식 스포티형 감지기의 설치 유효면적은 60[m²] 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요점정리] 소방관서장은 화재안전조사 결과에 따른 소방대상물의 위치, 구조,설비 또는 관리의 상황이 화재예방을 위하여 보완될 필요가 있거나 화재가 발생하면 인명 또는 재산의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때 다음과 같은 조치를 명할 수 있다. * 소방대상물의 개수, 이전,제거 * 소방대상물의 사용의 금지 또는 제한 * 소방대상물의 사용폐쇄 * 소방대상물의 공사의 정지 또는 중지 * 그 밖에 필요한 조치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화재안전조사 결과에 " * 재축명령은 화재안전조사 결과에 따른 조치명령사항에 해당하지 않는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열의 복사 란?" * 화염의 접촉 없이 연소가 확산되는 현상으로 화재 현장에서 인접 건물을 연소시키는 주된 원인은 '열의 복사 '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소화용수설비란 화재를 진압하는 데 필요한 물을 공급하거나 저장하는 설비를 말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요점정리] :수신기의 설치기준 * 수신기가 설치된 장소에는 경계구역 일람도를 비치할 것 * 수신기의 조작스위치의 높이: 바닥으로부터 높이가 0.8[m]이상 1.5[m] 이하일 것. *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고 있는 장소에 설치할 것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수신기의 조작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높이 0.8[m] 이상 1.5[m] 이하일 것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옥외소화전설비는 각 부분으로부터 호스접결구까지의 수평거리가 40[m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해야 하며, 호스는 구경 65[mm]의 것으로 해야 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기간 내에 선임신고를 하지 아니하거나 소방안전관리자의 성명 등을 게시하지 아니한 자는 200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할론소화약제의 소화효과는 질식효과, 억제(부촉매)효과,냉각효과 이다. 제거효과는 할론소화약제의 소화효과와 관련이 없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방염처리 물품의 성능검사에서 현장처리물품의 성능검사 실시기관은 시·도지사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25년_에듀윌_[[ P94__ 22번 그림 참조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전역방출 방식" 이란? * 그림은 가스계소화설비 방출방식 중 전역방출방식 에 해당한다. ㄴ 전역방출방식이란? 고정식 소화약제 공급장치에 배관 및 분사헤드를 고정 설치하여 밀폐 방호 구역 내에 소화약제를 방출하는 설비를 말한다.
__________[ 보 기 ] __________ 건축물의 각 층 또는 그 일부로서 벽,기둥 기타 이와 유사한 구획의 중심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수평투영면적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바닥면적에 대한 설명이다 " * 바닥면적은 건축물 각 층의 벽이나 기둥의 중심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수평 넓이를 말합니다. 이는 건물 실내 공간의 크기를 나타내는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오답노트] * 건축면적: 건축물의 외벽(외벽이 없는 경우에는 외관 부분의 기둥)의 중심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수평투영면적으로 한다. * 연면적: 하나의 건축물의 각 층의 바닥면적의 합계로 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스프링클러 해드의 기준" *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 ,지하가 또는 지하역사의 스프링클러헤드의 기준 개수는 30 개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소방시설관리사의 양성은 한국소방안전원의 업무와 관련이 없다.
__________[ 보 기 ] __________ * 피부 전층이 손상되며 피하지방과 근육층까지 손상된 상태로 피부는 가죽처럼 매끈하고 회색이나 검은색으로 된다. * 피부에 체액이 통하지 않아 화상부위는 건조하며 통증이 없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전층화상( 3도 화상): 피부 전층이 손상되며 피하지방과 근육층까지 손상된 상태로 피부는 가죽처럼 매끈하고 회색이나 검은색으로 된다. 피부에 채액이 통하지 않아 화상부위는 건조하며, 통증이 없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통증 호소 또는 피부의 변화에 동요되어 간장, 된장 식용기름을 바르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
☆ [요점정리] 응급처치의 중요성 * 긴급한 환자의 생명을 유지 * 환자의 고통을 경감 * 위급한 부상 부위의 응급처치로 치료기간을 단축 * 현장처치의 원활화로 의료비 경감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전문치료의 원활화가 아닌 현장처치의 원활화로 의료비가 절감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 해설 ] * 상황이 긴박하더라도 구조자는 자신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25년_에듀윌_[[ P100__ 30번 그림 참조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경우 환자를 바닥이 단단하고 평형한 곳에 등을 대고 눕힌 뒤에 가슴뼈(흉골)의 아래쪽 절반 부위에 깍지를 낀 두 손의 손바닥 뒤꿈치를 댄 뒤 가슴압박을 실시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P형 수신기 점검방법] * 동작시험 : 수신기에 화재신호를 수동으로 입력하여 수신기가 정상적으로 동작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 회로도통시험: 수신기에서 감지기 사이 회로의 단선유무와 기기 등의 접속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 * 예비전원시험: ①.상용전원이 사고 등으로 정전된 경우 자동적으로 예비전원으로 절환이 되며, 복구 시에는 자동적으로 상용전원으로 절환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시험. ②. 상용전원이 정전되었을 때 화재가 발생해도 수신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전압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는 시험.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수신기에서 감지기 사이 회로의 단선 유무와 기기 등의 접속 상황을 확인학시 위한 시험은 회로도통시험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오답 체크] ① 수원은 옥외소화전 설치계수(2개 이상일 때에는 2개)에 7[m³] 을 곱한 양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옥외소화전이 3개 설치된 경우 수원의 용량은 2x7=14[m³] 이상이어야 한다. ③ 옥외소화전이 10개 이하 설치된 경우 옥외소화전마다 5[m] 이내 장소에 1개 이상의 소화점함을 설치해야 한다. ④ 옥외소화전이 11개 이상 30개 이하 설치된 경우, 11개 이상의 소화점을 각각 분산하여 설치해야 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 해설] * 옥외소화전설비의 방수량은 350[L/min]이상이다.
__________[ 보 기 ] __________ ㉠ 자동심장충격기의 심장충격을 실시할 경우 감전의 위험이 있으므로 환자와 접촉해서는 안 된다. ㉡ 두 개의 패드 중 1개가 고장이 난 경우 패드 1개만 부착해도 된다. ㉢ 심장리듬 분석 시 환자에게 다가가 심폐소생술을 계속해야 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자동심장충격기의 패드는 2개를 반드시 부착해야 한다. ㉢. 심장리듬 분석 시 환자에게서 즉시 떨어져서 분석 진행을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 제세동 버튼을 누를 때 환자와 접촉한 사람이 없음을 확인한 뒤 제세동 버튼을 누른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건축물의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이고 실내에 면하는 부분이 불연재로로 되어 있는 그린생활시설의 능력단위는 바닥면적 200[m²]마다 1단위 이상이다. 즉 , 요구능력단위는 2002000=10단위가 된다. 이때 능력단위 3단위의 소화기를 설치하므로, 소화기의 개수는 310=3.33 → 4개(수수점 절상)이다.
☆ [요점정리] 소방교육 및 훈련의 실시 원칙 * 학습자 중심의 원칙 * 동기부여의 원칙 * 목적의 원칙 * 현실의 원칙 * 실습의 원칙 * 경험의 원칙 * 관련성의 원칙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통계의 원칙은 소방교육 및 훈련의 실기 원칙에 해당하지 않는다.
__________[ 보 기 ] __________ * 이 건물의 소방안전관리 등급은 2급이다. * 상시 근무인원은 60명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소방안전관리 등급이 2급이고, 상시 근무인원이 50명 이상인 소방대상물에는 TYPE Ⅲ 자위소방대를 조직해야 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25년_에듀윌_[[ P105__ 37번 그림 참조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기동용기함의 솔레노이드밸브의 점검 전 안전조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솔레노이드밸브 안전핀 체결(㉢) ⇒ 솔레노이드 분리(㉡)⇒ 솔레노이드밸브 안전핀 제거(㉠)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25년_에듀윌_[[ P106__ 38번 그림 참조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오답체크] ※ ①,② 평상시에 교류전원 표시등과 전압지시등 외 점멸되는 것은 없어야 한다.문제에서 예비전원시험을 진행하였고 예비전원감시 표시등이 점등하였으므로 수신기에 이상이 없다고 할수 없다. ④ 스위치주의등이 점등되었다면 이는 수신기의 일부 스위치가 복구되어야 함을 의미한다.스위치주의등이 미점등되었다면 스위치에는 이상이 없는 것이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예비전원감시 표시등이 점멸한 경우 예비전원에 문제가 생긴 것이므로, 예비전원이 불량인지 점검해야 한다.
☞ [25년_에듀윌_[[ P107__ 39번 그림 참조 ]] ## [해설] * 충압펌프를 수동기동하는 경우 스위치는 다음과 같이 위치해야 한다. ㉠ 선택스위치: 수동 ㉡ 주펌프 스위치: 정지 ㉢ 충압펌프 스위치: 기동
__________[ 보 기 ] __________ ㉠ 실제 화재 여부 확인 ㉡ 수신기 확인 ㉢ 비화재보 원인 제거 ㉣ 수신기 복구 ㉤ 음양장치 복구 ㉥ 스위치주의등 확인 ㉦ 음향장치 정지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건축물에 경종과 사이렌이 울리지만 실제로 화재가 나지않은 경우를 비회재보라고 한다. 이때의 대처방법은 다음과 같다. 수신기 확인(㉡) → 실제 화재 여부 확인 (㉠) → 음양장치 정지(㉦) → 비화재보 원인 제거 (㉢) → 수신기 복구 (㉣) → 음향장치 복구 (㉤) → 스위치주의등 확인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복도통로유도등의 설치" * 복도통로유도등은 바닥으로부터 높이 1[m]이하에 설치해야 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25년_에듀윌_[[ P109__ 42번 그림 참조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옥내소화전 방수입력 측정 시 필요한 것은 직사형 관창과 방수압력측정계[피토게이지]이다. 방수구에 호스를 결속한 상태로 노즐의 선단에 방수압력측정계(피토게이지)를 근접시켜, 측정하고,방수압력측정계의 압력계상의 눈금을 확인한다. 이때 측정거리는 D/2정도로 해야 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25년_에듀윌_[[ P110__ 43번 그림 참조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소화기에 쓰여진 ABC는 ABC급 화재에 적응성이 있다는 것으로, 주성분은 제1인산암모늄(NH₄H₂PO₄) 이다.
☞ [25년_에듀윌_[[ P111__ 44번 그림 참조 ]] ☆ [요점정리] 감지기를 동작시킨 경우 확인사항 * 제어반 화재 표시 * 솔레노이드밸브 파괴침 동작 * 사이렌 또는 경종 동작 ## [해설] * 기동용기와 솔레노이드밸브를 분리한 후 감지기를 동작시켰으므로, 방출표시등은 점등되지 않는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25년_에듀윌_[[ P112__ 45번 그림 참조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탬퍼스위치(T/S)는 밸브가 폐쇄되는 경우 감시제어반에 탬퍼스위치 표시등을 점등하여 밸브의 폐쇄상태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즉 밸브가 폐쇄되었음을 알 수 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25년_에듀윌_[[ P113__ 46번 그림 참조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수신기와 감지기 사이 회로의 단선 유무와 기기 등의 접속 상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도통시험이 진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다) 도통시험 버튼을 눌러 도통시험을 진행해야 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25년_에듀윌_[[ P114__ 47번 그림 참조 ]]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오답 체크] * 예비전원감시표시등이 점등되어 있으므로 예비전원에 이상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압 지시가 낮음이므로 예비전원을 교체해야 한다. * 도통시험 표시등이 점멸되지 않았으므로 도통시험을 진행하지 않았다. * 지구회로가 점등된 곳이 없으므로 화재 발생 여부를 알 수 없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스위치주의표시등이 점멸되지 않았으므로 수신기의 스위치에 이상이 없다고 볼 수 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자체점검결과 보고를 마친 관계인은 보고한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소방시설 등 자체점검기록표를 작성하여 특정소방대상물의 출입자가 쉽게 볼 수 있는 장소에 30일 이상 게시해야 한다.
☆ [요점정리] 수동조작함 작동 시 확인해야 할 사항. * 펌프 작동 * 감시제어반 밸브개방표시등 점등 * 음향장치( 사이렌 또는 경종) 작동 * 화재표시등 작동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수동조작함을 작동시켰을 때 상황" *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의 수동조작함을 작동시킬 경우 "감지기 A 동작" 여부는 확인하지 않아도 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해설] * 대형소화기의 능력단위는 A급 10단위 이상, B급 20단위 이상이다.